전체 글 16

Local Storage를 활용한 Todo 리스트 만들기

개발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웹 브라우저의 Local Storage를 활용하여 새로고침해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Todo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먼저, HTML에 Todo 리스트를 위한 구조를 만들어줍니다: Todo List  이제 JavaScript로 Todo 리스트의 기능을 구현해봅시다: const todoInput = document.getElementById('todoInput');const todoList = document.getElementById('todoList');todoInput.addEventListener('keypress', (e) => { if (e.key === 'Enter') { addTodo(todoInput.valu..

Dev/App 2024.09.12

JavaScript로 실시간 시계 구현하기

안녕하세요.오늘은 JavaScript를 사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실용적인 실시간 시계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HTML에 시간을 표시할 요소를 만들어줍니다.   그 다음, JavaScript로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함수를 작성합니다: function updateTime() { const now = new Date(); const timeElement = document.getElementById('time'); timeElement.textContent = now.toLocaleTimeString();}setInterval(updateTime, 1000); 이 코드는 다음과 같이 작동합니다:1. 'updateTime' 함수는 현재 시간을 가져와 화면에 표시합니다.2. 'n..

Dev/App 2024.09.12

Operating-System Operations: 운영체제의 핵심 작동 원리

운영체제(OS)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입니다. OS의 주요 작동 원리를 Python 코드 예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프로세스 관리프로세스 관리는 OS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를 의미하며, 여러 상태를 거치게 됩니다.프로세스 상태 전이프로세스는 생성부터 종료까지 다음과 같은 상태를 거칩니다:생성(NEW)준비(READY)실행(RUNNING)대기(WAITING)종료(TERMINATED)이를 Python 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class Process: def __init__(self, pid): self.pid = pid se..

컴퓨터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념과 깊이 있는 이해

컴퓨터 시스템 아키텍처(Computer-System Architecture)는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설계 원리와 구조를 다루는 중요한 주제입니다. 이 주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을 제공하며, 시스템의 성능, 효율성, 확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컴퓨터 시스템 아키텍처의 주요 구성 요소와 설계 원리를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1. 컴퓨터 시스템 아키텍처의 정의와 중요성컴퓨터 시스템 아키텍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설계 방법론입니다. 이 아키텍처는 하드웨어 설계에서부터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그리고 시스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칩니다. 아키텍처는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성을 좌우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과 작동 원리

컴퓨터 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상호작용을 통해 데이터를 처리하고, 명령을 실행하는 복잡한 장치입니다. 이 글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그들이 어떻게 협력하여 기능을 수행하는지 기술적으로 세부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1.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성 요소컴퓨터 시스템은 주로 중앙 처리 장치(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I/O Devices), 그리고 저장 장치(Storage Devices)로 구성됩니다. 각 구성 요소는 특정 역할을 담당하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 명령을 수행합니다.중앙 처리 장치(CPU): CPU는 컴퓨터의 '뇌'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모든 연산과 명령 처리를 담당합니다. CPU는 주로 제어 장치(Control Unit), 연산 장치(ALU, ..

운영체제의 역할과 기술적 세부 사항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이자, 사용자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중재하는 중요한 소프트웨어입니다.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리소스 관리,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운영체제가 수행하는 주요 기능을 기술적이고 세부적으로 다루어 보겠습니다.1. 프로세스 관리 (Process Management)운영체제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모든 프로그램을 관리합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운영체제는 이를 프로세스로 인식하고 프로세스를 관리합니다. 프로세스 관리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프로세스 스케줄링 (Process Scheduling): 운영체..

AWS EKS on Fargate 구성

I. 구성동기 사내에서 hbase 분리 구성을 위해 EC2에서 EMR on EKS로 Migration을 분리 구성 및 이관 작업을 진행하려고 했다. EMR이 Managed 서비스라서, hbase를 신규 구성하는 후 APM에 맞춰서 구성 변경 후 이관을 해야해서 다음에 마무리할 예정이다. II. Architecture III. 구성하기 VPC에 vpc endpoint, NAT Gateway등 네트워크 구성을 선행한다. private subnet 및 방화벽 설정을 완료해야 한다. 네트워크 구성이 완료된 후 cloud9이나 bastion host를 구성 후, instance profile에 EKS, Cloudformation, IAM, EC2등의 자원 생성 권한을 부여한다. bastion host(또는 Clo..

OS, Container 2022.01.15

Google Compute Engine Basic

0.개요 CSP는 기본적으로 VM 서비스를 제공한다.(ex. AWS EC2, GCP GCE, Azure VM, Alibaba ECS ... etc) 그 중에서, 최근 VM Pipeline을 구성하며 GCP GCE의 기능과 권한 부여등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고 이를 기술하려 한다. 1. 서비스 정의 Google Compute Engine(GCE)는 GCP에서 제공하는 VM서비스로, server를 on-demand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기본적으로 on-demand, optional로 reserved 형태의 저렴한 이용이 가능하며 BYOL등의 정책 AWS와 비슷함) Sole Tenant라는 옵션이 있다. AWS EC2의 RI와 비슷한 개념으로 보면 된다. 참조. 2. Pricing 초단위 과금체계이며, 사용..

CSP Native Things 2020.11.08

Name Server & nslookup

Name Server 너 이름이 뭐이~? 일상생활에서 도메인을 사용하는 경우는 아주 많다. 예를 들면 구글링(www.google.co.kr), 유튜브 시청(www.youtube.com), 네이버 검색(www.naver.com), 게임(회사별 특정 domain) 등... 우리가 굳이 알지 않아도 매번 전세계 각지에 있는 Name Server에 의해서 서버에 대한 정보(IP address or 하위 name server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DNS에 대한 것은 영상으로 이해하는 것이 제일 편하다. 아래 영상을 보자. DNS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영상. 우리가 Web Browser(Chrome, IE, Edge, Whale, Firefox ...)를 이용하여 www.google.co.kr를 주..

Network 2020.10.17

Telnet & Traceroute

Telnet Network를 말해봐(Tell Network) 서버서버, 사용자->서버, 서버->DB등 다양한 통신을 위해 필요한 것이 두가지 있다. 바로 Routing & Firewall. 기본적으로 통신을 위해 Routing과 firewall 설정이 잘 되어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인 telnet과 traceroute에에 대하여 다뤄보자! Telnet 명령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다음과 같다. "A -> B로 접근할 때 특정 port에 대한 방화벽이 열려있는지, port가 서비스 중인지" Routing을 확인하는 것은 TraceRoute를 이용하여 추적할 수 있다.(아래에서 서술) telnet은 보통 linux 서버에서 package manager를 이용하여 설치해야 사용이 가능..

Network 2020.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