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Name Server & nslookup

JunMoo 2020. 10. 17. 20:58

Name Server

너 이름이 뭐이~?

일상생활에서 도메인을 사용하는 경우는 아주 많다. 예를 들면 구글링(www.google.co.kr), 유튜브 시청(www.youtube.com), 네이버 검색(www.naver.com), 게임(회사별 특정 domain) 등... 우리가 굳이 알지 않아도 매번 전세계 각지에 있는 Name Server에 의해서 서버에 대한 정보(IP address or 하위 name server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DNS에 대한 것은 영상으로 이해하는 것이 제일 편하다. 아래 영상을 보자.

DNS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영상.

우리가 Web Browser(Chrome, IE, Edge, Whale, Firefox ...)를 이용하여 www.google.co.kr를 주소창에 입력하고 Enter를 누르고 google 홈페이지에 들어가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www.google.co.rk에 대한 정보를 Name Server에게 질의(query)하고 그에 대한 응답(request)을 받아서 로컬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라우터들에게 우리가 해당 서버에 접근하길 원한다는 요청을 보내서 google 검색 엔진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는 것이다.

우리가 도메인을 구매하면 도메인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Name server(Global Name Server에서 특정 sub domain은 특정 name server로 보내버린다.)에 우리의 domain을 등록하고 우리 서버로 보내주는 것을 값을 지불하고 시키는 것이다.

 

특정 도메인이 전세계의 어떤 위치의 Name Server를 통해 확인이 가능한지 알 수 있는 사이트가 있어 링크로 남겨둔다.(재밌다 ㅋ)

nslookup

특정 도메인이 서비스 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는 nslookup이다.

해당 서비스 제공 업체에 따라 다르지만, 서버 정보를 ip만 주기도 하고 실제 서버의 ip가 아닐 경우가 많다.(보통 보안장비를 앞에 두기 때문에.)

www.google.com을 겁색해본 결과 172.217.175.4 서버로 가라고 한다. 이 ip address의 주인은 일반적으로 보안장비이거나, L4 Switch와 같은 네트워크장비일 가능성이 높다.

자세한 사용법에 대한 안내는 링크 참조.

 

마치며, 

간단하게 Name Server와 nslookup에 대해 알아보았다.

Name server에 대한 개념을 잡는 것은 전체적인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보안 목적상, dns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DNS, Network Packet, TCP/UDP등에 대한 이해를 함께 곁들이고, name server의 caching, local에서 domain에 대한 cash, 각 network 장비별 cash가 있다는 사실정도만 알아두자.

nslookup은 IT 현업에서 도메인 서비스를 등록한 후 제대로 서비스가 되고 있는지, 서비스가 보안장비를 정상적으로 거치는 지 등 여러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잘 기억해두자~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lnet & Traceroute  (0) 2020.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