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Telnet & Traceroute

JunMoo 2020. 10. 17. 20:30

Telnet

Network를 말해봐(Tell Network)

 

서버<->서버, 사용자->서버, 서버->DB등 다양한 통신을 위해 필요한 것이 두가지 있다.

바로 Routing & Firewall.

 

기본적으로 통신을 위해 Routing과 firewall 설정이 잘 되어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인 telnet과 traceroute에에 대하여 다뤄보자!

 

Telnet 명령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다음과 같다.

"A -> B로 접근할 때 특정 port에 대한 방화벽이 열려있는지, port가 서비스 중인지"

Routing을 확인하는 것은 TraceRoute를 이용하여 추적할 수 있다.(아래에서 서술)

telnet은 보통 linux 서버에서 package manager를 이용하여 설치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설치는 링크 참조)

일반적으로 일회성 확인은 다음과 같다.

telnet 확인하려는 ip 주소 포트

telnet 확인하려는 ip 주소 포트

Connection Time out이 나온다면 Firewall이 설정되어 막혀있거나, Routing이 안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Routing이 안되고 있다면 실제 IP로 접근하지도 못한다.)

Connection Refuse가 난다면? 바로 port는 열려있으나, 해당 서버가 해당 포트로 서비스중이지 않음을 뜻한다.

 

자세한 사용법은 다음 링크 참조.

 

Traceroute

Routing 추적 ON

 

telnet을 이용하여 접근하려고 하는데 방화벽을 열었는데도 계속 time out이 난다고? 그렇다면 제대로 routing 되고 있는지 확인해보자.

 

traceroute도 telnet처럼 보통 linux 서버에서 package manager를 이용하여 설치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설치는 링크 참조)

간단한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traceroute 확인하려는 서버 ip address/dns

Routing 자체를 분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port 지정을 할 필요가 없다.

Network Hop 단위로 gateway나 l4 switch 등의 ip address와 해당 지점까지 가는데 걸린시간을 표시해준다.

google.com에 대한 traceroute 결과.

마치며,

telnet과 traceroute는 IT의 network와 관련된 업무에서 빠지지 않는 명령어다. 꼭 익혀두고 연습해보자.(사실 연습안해도 실무에서 어차피 써서 개념만 알고 있어도 된다. 사실 명령어보다 전체적인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에 초점을 맞추자.)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me Server & nslookup  (0) 2020.10.17